SBI 코스머니, 5주년 서비스 통계 발표… 팬데믹 기간 해외송금 동향 담아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04월 19일 — SBI금융그룹의 해외송금 서비스 ‘SBI 코스머니’가 서비스 론칭 5주년을 맞아 코로나19 팬데믹 전·후 해외송금 동향을 포함한 서비스 통계 인포그래픽을 발표했다.

SBI 코스머니는 모바일 앱(App), 웹(Web)을 통한 간편 해외송금을 제공하는 금융 서비스다. 올해로 5주년을 맞은 SBI 코스머니는 주거래·VIP 여부에 따라 차등적으로 환율 우대를 제공하던 기존 서비스와 달리, 모든 고객에 환율 우대 혜택을 제공하는 전략을 내세워 업계 리딩 브랜드로 자리 잡았다. 중계 은행 개입 없이 실시간 내지 몇 시간 내로 해외송금이 완료되는 최신 핀테크 기술을 적용해 해외송금 수수료를 최대 90% 줄인 점도 이용자들의 호평을 받고 있다.

SBI 코스머니 해외송금 동향에 따르면 2019년 119만9000원이었던 1회 평균 송금액은 코로나19 원년인 2020년 108만3000원으로 약 9.6% 감소했으나, 2021년 141만9000원으로 31% 상승 전환했다. 연간 송금 건수는 팬데믹 기간 하락 없이 상승 곡선을 그려 2020년엔 89.6%, 2021년엔 51% 증가했다.

김정욱 SBI 코스머니 대표는 “체류 기간 90일 초과 국제이동자가 2019년 146만명에서 2021년 88만명으로 감소(39%)했음에도 같은 기간 SBI 코스머니 이용자 수는 291% 증가했다”며 “코로나19라는 악조건 속에서도 안정된 환율과 수수료를 제공하고 송금 국가에 따른 맞춤형 고객 지원 시스템을 강화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팬데믹 전·후 3년 이상 해외송금을 진행한 이용자 100명에 코로나19가 해외송금 빈도 및 금액에 미친 영향을 조사한 결과에서는 35%가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답했다. 빈도 또는 금액을 줄였다고 답한 비율은 30%였으며, 한때 감소했으나 조사 시점(2023년 3월)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했다고 답한 비율은 22%로 나타났다. 팬데믹 기간 송금 빈도와 금액이 오히려 증가했다고 답한 비율도 13%나 됐다.

이 밖에 지난 5년간 이용자들이 가장 많이 송금한 아시아 국가는 필리핀(43.8%)이었으며 베트남(41.5%)과 캄보디아(4.4%)가 뒤를 이었다. 비아시아 지역은 미국(42.1%), 호주(23.8%), 영국(19.8%)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해외송금 목적은 생활비가 74.1%의 압도적 응답률로 1위에 올랐다. 2위는 현금 선물(7.6%), 3위는 기타 가족 경비(6.4%)로 조사됐다.

해외송금 서비스 이용자 성비는 남성이 64%, 여성이 36%로 남성이 약 1.78배 더 많았다. 이용자 연령은 30대가 51%로 절반을 넘었으며, 20대(29.1%)와 40대(16.1%)가 뒤를 이었다.

한편 SBI 코스머니는 탄탄한 보안과 기술력을 기반으로 해외송금 무사고 기록을 5년간 이어가고 있다. 또 중계 은행을 거치지 않는 해외송금 방식을 적용한 결과 고객 1인당 기존 방식 대비 연간 24만2000원의 수수료를 절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비스 재이용률은 90.2%에 달한다. 아울러 SBI 코스머니는 외국인의 국내 생활 적응을 위한 교육 세미나와 상담을 무상 지원하며, 각종 다문화 행사·커뮤니티 후원 등 사회 공헌 활동에도 앞장서고 있다.

김정욱 SBI 코스머니 대표는 “SBI 코스머니는 2018년 3월 서비스 출범 이래, 해외송금도 국내송금처럼 빠르고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중심의 인프라를 구축하는 등 해외송금 시장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데 앞장서 왔다”며 “앞으로도 SBI 코스머니는 누구나 손쉽게 국경 없는 금융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서비스 국가를 확대할 예정이며, 더 향상된 고객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정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SBI 코스머니 소개

SBI 코스머니는 한국의 해외송금 핀테크 업체로 SBI금융그룹의 일원이다. 2018년 1월 기획재정부에서 소액해외송금업 인가를 취득하고 현재 총 12개국을 대상으로 해외송금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출처 : https://www.newswire.co.kr/newsRead.php?no=965310&sourceType=rss